학년 | 학기 | 이수 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시간 | 학기 | 이수 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시간 | ||
---|---|---|---|---|---|---|---|---|---|---|---|---|
1 | 1 | 교양 필수 |
Integrated English Skills 1 | 택1 | 2 | 4 | 2 | 교양 필수 |
Integrated English Skills 3 | 택1 | 2 | 4 |
종합일본어 1 | 종합일본어 2 | |||||||||||
종합중국어 1 | 종합중국어 2 | |||||||||||
Basic English Reading 1 | 택1 | 2 | 4 | Intermediate English Reading1 | 택1 | 2 | 4 | |||||
일본어연습 1 | 일본어연습 2 | |||||||||||
입문 중국어 | 초급중국어 1 | |||||||||||
진로탐색과 생애설계 | 1 | 1 | 자기계발과 리더쉽 | 1 | 2 | |||||||
전공 필수 |
* 인체해부학 | 3 | 3 | 전공 필수 |
* 인체생리학 | 2 | 3 | |||||
* 의학용어 | 2 | 2 | ||||||||||
전공 선택 |
* 재활치료학개론 | 2 | 3 | * 심리학 | 2 | 3 | ||||||
* 공중보건학 | 2 | 2 | ||||||||||
|
사회복지개론 | 3 | 3 | 전공 선택 |
Premium health (스키) | 택1 | 1 | 2 | ||||
Premium health (수영) | ||||||||||||
Premium health (댄스) |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3 | 3 | 트랙 필수 |
노인복지론 | 3 | 3 | ||||||
사회복지실천론 | 3 | 3 | ||||||||||
개 설 학 점 | 18 | 23 | 개 설 학 점 | 18 | 26 | |||||||
여름 | 교양 필수 |
Integrated English Skills 2 | 택1 | 2 | 2 | 겨울 | 교양 필수 |
Integrated English Skills 4 | 택1 | 2 | 2 | |
종합일본어1-S | 종합일본어 2-S | |||||||||||
기초중국어1-S | 종합중국어 2-S | |||||||||||
Basic English Reading 2 | 택1 | 1 | 2 | Task-based English | 택1 | 1 | 2 | |||||
일본어연습 1-S | 일본어연습 2-S | |||||||||||
초급중국어 | 초급중국어 2 | |||||||||||
트랙 |
사회복지행정론 | 3 | 3 | 트랙 필수 |
자원봉사론 | 3 | 3 | |||||
개 설 학 점 | 6 | 7 | 개 설 학 점 | 6 | 7 | |||||||
1학년 계: 48학점/ 63시수 (교필: 16학점/ 27시수,교선: 1학점/2시수, 전필: 7학점/ 8시수, 전선: 6학점/ 8시수, 트랙: 18학점/ 18시수) |
||||||||||||
2 | 1 | 교양 필수 |
Integrated English Reading 2 | 택1 | 2 | 4 | 2 | 교양 필수 |
Advanced English Reading | 택1 | 2 | 4 |
일본어연습 3 | ||||||||||||
중급중국어 1 | 일본어연습 4 | |||||||||||
교양 필수 |
Integrated English Skills 5 | 택1 | 2 | 4 | 고급중국어 1 | |||||||
종합일본어 3 | ||||||||||||
종합중국어 3 | ||||||||||||
교양 선택 |
* 작업수행분석 | 전공 필수 |
* 일상생활활동 | 3 | 4 | |||||||
2 | 2 | |||||||||||
전공 필수 |
* 치료적작업응용 | 3 | 3 | 전공 |
* 작업치료평가 | 3 | 3 | |||||
* 이학적검사 | 3 | 3 | ||||||||||
전공 선택 |
재활의학 | 2 | 3 | 의료관계법규 및 행정 | 2 | 2 | ||||||
* 신경해부학 | 2 | 3 | ||||||||||
임상신경학 | 2 | 2 | ||||||||||
성장과발달 | 2 | 2 | ||||||||||
트랙 필수 |
지역사회복지론 | 3 | 3 | 트랙 필수 |
사회복지법제론 | 3 | 3 | |||||
개 설 학 점 | 18 | 24 | 개 설 학 점 | 18 | 21 | |||||||
여름 | 전공 필수 |
* 기능해부학 | 3 | 3 | 겨울 | 전공 필수 |
* 기초운동치료학 | 3 | 4 | |||
트랙 필수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3 | 3 | 트랙 필수 |
사회복지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 3 | 3 | |||||
개 설 학 점 | 6 | 6 | 개 설 학 점 | 6 | 7 | |||||||
2학년 계: 45학점/ 58시수 (교필: 6학점/ 12시수, 교선: 2학점/2시수, 전필: 12학점/ 14시수, 전선: 16학점/18시수, 브랜드트랙: 12학점/ 12시수) |
||||||||||||
3 | 1 | 교양 선택 |
TOEIC | 1 | 4 | 2 | 교양 선택 |
융복합프로젝트 | 2 | 2 | ||
전공 필수 |
* 아동작업치료학 1 | 3 | 3 | 전공 필수 |
* 정신사회작업치료학 | 3 | 4 | |||||
전공 선택 |
지역사회작업치료이론및실습 | 3 | 4 | 전공 선택 |
* 연구방법론 | 2 | 2 | |||||
* 정신의학 | 3 | 3 | ||||||||||
특수교육학개론 | 2 | 2 | ||||||||||
직업재활 | 2 | 2 | ||||||||||
* 근골격계작업치료 | 3 | 4 | ||||||||||
*아동작업치료학 2 이론및실습 | 3 | 4 | ||||||||||
트랙 필수 |
사회복지정책론 | 3 | 3 | 트랙 필수 |
사회복지조사론 | 3 | 3 | |||||
가족복지론 | 3 | 3 | ||||||||||
개 설 학 점 | 18 | 22 | 개 설 학 점 | 18 | 21 | |||||||
여름 | 전공 필수 |
인체운동학 | 3 | 3 | 겨울 | 전공 선택 |
* 작업치료학임상실습1 | 3 | 6 | |||
트랙 필수 |
사회복지현장실습 | 3 | 3 | * 작업치료학임상실습2 | 3 | 6 | ||||||
개 설 학 점 | 6 | 6 | 개 설 학 점 | 6 | 12 | |||||||
3학년 계: 48학점/ 61시수 (교선: 3학점/6시수, 전필: 15학점/ 22시수, 전선: 18학점/ 21시수, 트랙: 12학점/ 12시수) |
||||||||||||
4 | 1 | 전공 필수 |
졸업과제연구 | 2 | 2 | 2 | 전공 필수 |
* 지역사회작업치료학임상실습6 | 3 | 6 | ||
전공 선택 |
* 신경계작업치료 | 3 | 4 | |||||||||
* 인지 · 연하재활 | 2 | 2 | ||||||||||
* 작업치료학임상실습3 | 3 | 6 | ||||||||||
* 작업치료학임상실습4 | 3 | 6 | ||||||||||
* 작업치료학임상실습5 | 3 | 6 | ||||||||||
개 설 학 점 | 16 | 26 | 개 설 학 점 | 3 | 6 | |||||||
4학년 계: 19학점/ 32시수(전필: 5학점/ 8시수, 전선: 14학점/ 24시수) | ||||||||||||
개설 학점 총계 | *교양필수: 22학점/ 교양선택: 4학점/ 교양선택(통섭교양):2학점(의무)이상/ (전공필수: 39학점/ 전공선택: 54학점/ 트랙: 42학점 |
총계: 163학점 |
※ 통섭교양 2학점(이수구분: 교양선택)은 졸업전까지 반드시 이수하여야 함
※ "진로탐색과 생애설계"교과목은 학과별로 1학기 또는 2학기 중 선택하여 편성.
※ 교양필수 18학점, 교양선택 2학점은 졸업 전까지 반드시 이수하여야 함.
※ * 표시 과목은 국가고시 관련 교과목으로 과목대체, 삭제 불가
* 인체해부학 Human Anatomy
인체 각 부분의 구조와 기능을 학습하고, 인체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임상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질환의 구조적 변화를 이해하도록 한다.
재활치료학 개론
(Introduction to
Rehabilitation Therapy)
전공과정을 시작하기 전 재활팀의 구성원인 재활의학과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언어치료사, 임상심리사, 보조기 의수족 제작자, 특수교사 등의 업무범위와 역할 등을 강의한다.
* 공중보건학
(Public Health)
건강과 보건학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한 개념과 이론을 학습하고, 보건의료의 환경변화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여 국민건강 증진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교육합니다.
의학용어
(Medical Terminology)
의학분야에 널리 쓰이는 의학관계 용어의 개념을 습득하여 전공과목 학습 및 원서 사용에 도움 주도록 강의한다.
* 인체생리학
(Physiology)
인체를 구성하는 해부학적 기관들의 생리학적 기능과 원리를 학습하여 작업치료에서 중재적 접근을 시도하는 질환에 대한 인체의 생리학적 기능에 대한 지식을 높입니다. 또한 인체의 항상성 유지 및 생리적 요인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여러 현상들을 이해하여 기초지식을 높입니다.
심리학
(Introduction of
Psychology)
환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치료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인간 행동의 정상적인 발달과정 및 비정상 활동의 생성과 치료과정에 대해 강의합니다.
치료적 작업응용 (Therapeutic Activity Analysis)
작업치료의 기초이론과 영역에 대해 배우고 대상이 되는 환자에게 작업치료를 어떻게 적용 할 수 있는지를 학습합니다.
기능해부학 (Functional Anatomy)
인체 각 부분의 형태에 다른 기능을 강의하여 앞으로 배우게 되는 인체 운동을 이루는 기본적인 해부학적 지식을 습득합니다.
작업수행분석 (Therapeutic Crafts)
보건 분야에 필요한 통계학의 기초개념과 통계적 방법을 이해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건자료를 수집, 정리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신경해부학 (Neuroanatomy)
신경계통의 형태와 구성을 강의하며 신경계의 기능을 이해시켜 임상에서 나타나는 신경계 병변의 원인과 결과를 유추할 수 있도록 합니다.
기초운동치료학(Emergency Pharmacology)
해부학과 생리학의 기초적 지식을 바탕으로 재활 치료의 중요한 기법인 운동을 통한 치료법의 기전방법을 강의하고 실습합니다.
직업재활 (Vocational Rehabilitation)
선천적*후천적 장애인이 취업(재취업)하는데 요구되는 작업능력을 평가하고 직업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훈련시키는 과정을 학습합니다.
이학적 검사학 (Physical Examination Procedures)
관절가동범위 측정법, 근력측정법, 반사검사법 등 신경 근골격계와 관련된 검사법을 강의 및 실습합니다.
작업치료평가 (Evaluation of Occipational Therapy)
심리측정 도구의 형성과정에 대한 이론, 다양한 측정도구 소개 및 실시방법, 검사결과의 해석법을 학습합니다.
재활의학 (Rehavilitation Medicine)
재활치료를 요하는 각종 질환에 대하여 그 원인, 평가, 증상, 치료 등을 강의하여 임상에서 접하게 되는 질환을 이해하도록 합니다.
아동작업치료학 (OT for Children)
지체장애 아동에게 다양한 치료이론을 통한 작업치료의 접근 방법과 치료방법에 대하여 학습합니다.
아동작업치료학 이론 및 실습 (OT for Children and practicum)
지체장애 아동에게 다양한 치료이론을 통한 작업치료의 접근 방법과 치료방법에 대하여 학습한 후 실제 임상현장에서 하는 치료를 경험합니다.
일상생활동작 (Activities of Daily Living)
신체적 장애로 인해 독립적인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보조기구 적용, 변형된 방법, 환자개선 등의 방법으로 잔여기능을 최대로 개발시키는 작업치료적 접근 방법에 대하여 학습합니다.
인체운동학 (Kinesiology)
인체에서 일어나는 각종 운동에 대해 물리학적 특성과 형태적 특성을 강의하여 비정상적인 인체 운동시 변화를 예측, 측정 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정신의학 (Pstchiatry)
정신과적 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치료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의료적인 문제 및 분류와 평가 및 치료에 대해서 알고 관련된 정보를 학습합니다. 아동 및 성인과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상자들의 정신과적 작업치료 접근과 평가에 대해서 학습합니다.
물리치료학개론 (Introduction to Physical Therapy)
신체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에 대하여 질병이 증상을 과정별로 강의하여 임상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신체적 질환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의료관계법규 및 행정 (Health Law & Administration)
보건의료관계법규(의료법, 의료기사법 등)를 중심으로 보건의료분야 종사자의 역할을 인식시키고, 법에 대한 일반적 이해와 보건의료에 관계되는 보건법, 전염병법, 의료기사법, 의료인법, 지역사회법 등등의 차이에 대해서 그 내용을 학습하고 익힙니다.
졸업과제연구 (Research for Graduation)
논문 작성시 필요한 여러 가지 형태의 연구 방법 종류와 그 구성에 대하여 강의하고 다른 논문을 가지고 검토하도록 하여 논문 작성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정신사회작업치료학 (Psychosocial Occupational Therapy)
정신과적인 문제를 가진 아동, 성인, 노인이, 일상생활활동이나 직업활동, 여가활동 등의 작업수행을 하는데 필요한 심리-사회학적인 이론과 기술을 강의와 실습을 통해서 학습합니다.
작업치료도구 (Therapeutic Modalities)
작업치료의 대상이 되는 근골격계 질환을 가진 환자의 기능을 증진하기 위한 치료방법 중 물리적 도구에 대한 기초를 배워 임상 적용하도록 합니다.
임상신경학 (Clinical Neurology)
신경계 질환을 중점적으로 그 원인, 평가, 경과, 치료를 강의하여 임상에 접하게 되는 다양한 질환을 이해하도록 합니다.
지역사회 작업치료 이론 및 실습 (Commnity Occupational Therapy theory and Practicum)
지역사회 작업치료의 특성과 이에 따른 재활치료 접근법에 대하여 배우고, 실제 지역사회에서 적용하여 작업치료와 실습과정을 경험합니다.
신경계 작업치료 (OT for Neurological Disorders)
뇌졸중, 뇌손상, 척수손상, 화상 등의 성인에게 발생되는 신경학적 손상 환자에 대하여 다양한 치료 이론을 통한 작업치료의 접근 방법과 치료방법에 대하여 학습합니다.
보조기 및 의수족 (Orthotics and Prosthetics)
보조기 및 의지의 구성과 종류에 대하여 강의하고 착용시 나타나는 문제점을 알 수 있도록 실습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보조기와 의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근골격계 작업치료 (OT for Musculoskeletal Disorderes)
근골격계의 손상 또는 질환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작업치료의 목표, 평가, 치료, 역할에 대한 학습을 하며, 임상에서 사용되는 기술을 실습을 통해 습득합니다.
작업치료 세미나 (Occupational Therapy Seminar)
작업치료학의 중심이 되는 내용을 주제별로 정하여 심도있게 공부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작업치료학 임상실습 1~6 (Clinical Pracicum in OT 1_6)
작업치료 이론을 임상에서 실제로 적용하여 작업 치료와 실습과정을 실습합니다.
연구방법론 (Methodology)
논문작성의 순서와 방법과 연구에 관련된 기존 문헌을 조사하고, 문제와 관련된 의문을 연구가설을 만들고, 자료를 수집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합니다.
인지재활 (Cognitive Rehabillitation)
뇌손상, 뇌졸중이나 치매 등과 같은 신경학적인 문제를 가진 사람의 주의력 저하, 기억력감퇴, 문제해결능력의 저하 등의 인지적인 문제와 이로 인한 작업수행 상의 문제를 이해하고 접근하는 방법을 배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