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치료사 + 사회복지사(융합적 복수 전공)
[의료기관] 대학병원:서울대병원,세브란스병원,경희의료원,서울아산병원,순천향대병원,아주대학교병원,건양대병원,전북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국제성모병원,중앙대병원,인하대병원 / 국공립 병원:국림재활원,국립교통재활병원,원주의료원,국림중앙의료원 / 재활요양병원:예은병원,명지춘혜병원,푸르메재단넥슨 어린이재활병원, 서울재활병원,로이재활병원,미추홀병원,휴앤유병원,새울병원,웰리스병원,한솔요양병원,린병원,트리니티병원,고려수병원 / 치매지원센터:서울,대전,천안,인천,강원도
[공무원] 국민 건강 보험공단:요양직,보건직,지역실거주자 / 질병관리본부:전문임기제나급(위기소통) / 국림과학수사연구소:보건연구사(공중보건)법의학분야,연구기획분야,의료기술 주사보 / 국립재활원:재활보조기술 연구과 연구원,임상재활 연구과 연구원 / 국림재활원:인천병원,아산병원,대전병원,대구병원,광주병원,순천병원 / 도로교통공단:작업치료7급갑 / 보건소:시,도,구별 보건소,지역사중심재활사업,지방임기제공무원 / 지방자치단체:광역별재활병원(인천,대전,대구,부산,광주,제주),국립암센터(고양시),대전노인전문병원,조치원노인전문병원
[교수 및 연구원] 국내외 교수:국내는 석,박사 취득,우송대 대학원,연세대 대학원, 서울대 대학원,이화여대 대학원 / 연구원:서울대학교병원 연구직,국림 재활원 연구직,세브란스병원 연구직,삼성연구원 / 광역치매센터:중앙치매센터,13개 지역의 치매센터 / 보조공학 및 의료기:의료장비개발,의료장비 교육업무, 의료장비 마케팅(해외포함)
[아동 치료] 대학병원: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세브란스병원,인천성모병원 / 재활병원:서울재활병원,로이재활병원,글로리병원 / 학교 작업치료 / 아동발달센터:솔파란아동발달연구소,시소감각통합,상담연구소,(주)더자람,한국아동발단센터,을지아동발달센터,이화여자대학교 발달장애 아동센터 / 장애인복지관:각 시,도 장애인복지관,영동구장애인복지관 / 아동복지시설:지역아동센터
[창업] 아동발달센터 / 아동복지시설:지역아동센터 / 노인복지시설:재가노인복지시설(주간보호센터,요양원) / 노인복지시설:장애인 복지시설 / 해외 창업:작업치료원개원(한국,일본을 제외한 모든 OECD국각가 작업치료사의 병원개원이 가능.) / NGO활동:UN해외의료봉사,코아카단체,굿네이버스,적십자
[유학] 미국:Univ of Florida,Univ of Kansas,medical center,Univ of pittsburgh,Univ of illinois,chicago,New york university / 캐나다:McMaster University,University of toronto / 캐나다:University of Brighton,Amsterdam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Zurich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 호주:South Astralia University,University of Newcastle
[R 현실형] 실제적이며 단순함. 여러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것 보다 혼자 일하는 것을 선호. 추천분야:공공기관,연구원
[I 탐구형] 지적이고 분석적임. 호기심이 많고 개방적임 추천분야:창업,유학,연구원
[A 예술형] 상상력이 풍부하고 직관적임. 개방적이며 독창적임 추천분야:아동 치료, 유학
[S 사회형] 명랑하고 사교적임. 친절하고 이해심이 있음 추천분야:아동치료, 의료기관, 공무원
[E 진취형] 권련지향적이며, 지배적임. 야심이 많고 외향적임 추천분야:유학.교수,연구원
[C 관습형] 보수적이고 실용적임. 변화를 싫어하고 안정 추구 추천분야:공공기관,교수](/dept2/ot/images/img0404_01.jpg)
각 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신체적 장애 및 인지장애 부분) 등에서 종사하면서 환자를 치료할 뿐만 아니라, 평가/교육/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정신과 및 소아정신과 분야 : 자폐, 지적장애, 기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들의 사회성 및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를 실시합니다.
사회 재활 차원에서 옷입기, 식사하기 같은 일상생활기술, 취업에 필요한 직업관련 기술, 한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기 위한 사회적응에 필요한 기술을 가르칩니다.
선천적 혹은 후천적 장애에 의해 발달지연이 있는 아동들에게 감각-운동 치료를 실시하여 아동의 정상발달을 돕습니다.
특수교육법에 의거하여 장애아동의 학교적응과 교육에 필요한 기초능력을 향상시킵니다.
졸업 후 석/박사 과정을 이수하여 작업치료학과 및 관련학과 교원 및 연구원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유럽, 호주, 동남아시아, 일본 등으로 해외취업이 가능하며, 학석사 연계과정 이후 미국, 캐나다 등으로 취업이 가능합니다.
장애인용품, 노인용품 수입업체에서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장비 및 물품 수입을 기획하고, 홍보할 수 있으며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로 활약할 수 있습니다.
일과 관련된 상해를 입은 사람들에게 직업에서 요구되는 능력을 평가, 치료, 교정하고, 손상된 기능에 대하여 보상기술을 훈련하여 사회로 빨리 복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7급, 9급(제한경쟁) 보건직 공무원에 도전할 수 있으며 작업치료사 면허증이 있다면 공무원 시험을 보는데 있어서 가산점이 적용됩니다.
병원과 교도소의 중간단계로서 사회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이들의 자아개념을 높여주어 올바른 대인관계, 자기표현을 훈련하고 건강한 사회복귀를 위한 교정치료를 실시합니다.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면서 아동 및 노인 장애와 관련된 치료 및 교육을 할 수 있습니다.
작업치료학과 교과과정에는 일반생물, 물리, 화학 등의 기초과목 뿐만 아니라 생리학, 해부학, 병리학, 의학용어 등의 의학 관련 과목이 포함되어 있어 의학전문 대학원 편입에 유리합니다. 또한 기초의학분야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